중국과 프로파간다 – 여론 조작의 역사와 전략
1. 서론 – 중국의 정보 통제와 선전 전략
중국은 오랜 세월 동안 강력한 정보 통제와 프로파간다(선전)를 활용하여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고 내부 결속을 다져왔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인터넷과 SNS가 확산됨에 따라 중국 정부는 더욱 정교한 여론 조작 기법을 개발하여 국내외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정부가 어떻게 프로파간다를 활용하여 여론을 조작하고, 이를 통해 자국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는지 살펴본다.

2. 중국의 전통적인 프로파간다 기법
2.1 국가 검열 시스템
중국은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이라 불리는 인터넷 검열 시스템을 통해 자국 내 정보 흐름을 철저히 통제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중국 정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다.
- 해외 뉴스 및 웹사이트 차단: BBC, 뉴욕타임스, 유튜브, 구글 등 주요 외신과 플랫폼을 차단하여 외부 정보 유입을 막는다.
- 검열 알고리즘 사용: 위챗(WeChat), 웨이보(Weibo) 등의 중국 내 플랫폼에서 특정 키워드를 차단하여 민감한 주제에 대한 논의를 원천 봉쇄한다.
- 자국 내 친정부 성향 언론만 허용: 신화통신, 인민일보와 같은 국영 언론사만 활동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2.2 중국 공산당의 선전부 역할
중국 공산당 선전부는 미디어 통제를 통해 정부의 메시지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정부는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성과를 강조하고, 체제에 대한 비판을 차단한다.
3. 현대적 프로파간다 – 온라인을 활용한 여론 조작
3.1 SNS를 이용한 여론 조작
최근 중국 정부는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 서구 SNS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과 관련된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온라인 여론을 조작한다.
- 봇(Bot)과 댓글 부대 운영: 자동화된 계정과 실제 운영자들을 동원해 친중(親中) 댓글을 대량 생성하여 특정 주제를 왜곡한다.
- 알고리즘 조작: 중국에 유리한 게시물이 우선 노출되도록 유튜브, 틱톡 등의 플랫폼에서 알고리즘을 조작하거나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다.
-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 배포: 중국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매체를 통해 허위 뉴스를 퍼뜨려 혼란을 조성한다.
3.2 해외 언론 및 학계 영향력 확대
중국 정부는 외국의 언론과 학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친중 성향의 학자 지원: 중국이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연구 기관이나 학자들은 중국을 옹호하는 연구를 발표하는 경우가 많다.
- 해외 언론 인수 및 협력: 중국 국영 언론이 서구 언론사와 협력하거나 일부 매체를 인수하여 친중 성향의 보도를 강화한다.
4. 홍콩 민주화 운동과 중국의 프로파간다
홍콩 민주화 운동(2019년) 당시 중국 정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프로파간다 전략을 적극 활용했다.
- 홍콩 시위대를 폭도로 몰아감: SNS와 국영 매체를 통해 홍콩 시위대가 폭력적이며 외세에 의해 조종받고 있다는 이미지를 확산했다.
- 가짜 계정 및 유튜브 영상 배포: 친중 성향의 유튜브 채널과 트위터 계정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음해하는 콘텐츠를 배포했다.
- 국내 검열 강화: 중국 본토에서는 홍콩 시위에 대한 정보를 차단하고, 친정부적 시각만 전달했다.
5. 신장 위구르 탄압과 정보 조작
중국 신장 위구르 지역에서는 대규모 인권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이를 부정하며 적극적인 프로파간다를 펼치고 있다.
- ‘재교육 캠프’라는 명분으로 수용소 운영: 중국 정부는 신장 지역의 무슬림들을 ‘직업 훈련소’에 보낸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강제 수용소에 가깝다.
- SNS를 통한 이미지 세탁: 신장에서 찍은 ‘행복한 위구르족’이라는 선전 영상을 제작하여 국제 사회를 기만한다.
- 국제 언론 통제: 신장 문제를 비판하는 외신 기자들은 취재를 방해받거나, 중국에서 추방되기도 한다.
6. 대만과의 정보전 – 선거 개입과 여론 조작
대만은 중국과의 관계에서 늘 긴장 상태에 있으며,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대만 여론을 조작하고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를 지속해 왔다.
- 가짜 뉴스 유포: 대만 선거 기간 동안 친중 후보를 지지하는 가짜 뉴스가 확산되었다.
- 친중 매체 및 인플루언서 활용: 친중 성향의 대만 언론과 인터넷 인플루언서를 동원하여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도록 했다.
- 사이버 공격: 대만 정부 웹사이트와 언론사를 해킹하여 혼란을 조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7. 결론 – 프로파간다에 속지 않으려면
중국의 프로파간다는 단순한 국내 여론 조작을 넘어 국제 사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강력한 검열 시스템과 온라인 조작 기법을 활용하여 자국의 이미지를 세탁하고, 반대 세력을 탄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우리가 이러한 프로파간다에 속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출처가 명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신뢰할 수 있는 언론사를 통해 정보를 얻고, 소셜미디어에서 퍼지는 뉴스는 반드시 사실 여부를 검증해야 한다.
- 다양한 시각을 비교하기: 특정 국가나 단체가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지 말고, 다양한 관점을 통해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 알고리즘의 영향력 인지하기: 유튜브, 틱톡 등의 추천 알고리즘이 특정 국가의 이익을 반영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